전체 글 (17)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가 도와줄 사람은 누구인가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아이들이 길을 잃었을때를 대비해서 평소에 이말을 반복해서 당부해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. "길을 잃으면 그 자리에 가만히 있어 내가 찾으로 올게" 더이상 아이는 아니지만 그 말을 스스로에게 적용해보고는 합니다. '내가 어려움에 처했을를 때 누가 나를 도와줄까' 이런 생각을 나만하는 줄 알았는데 놀랍게도 세계 각국의 행복도를 조사하는 질문에도 들어있더군요. 바로 필요할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국 가 있습니까? 우리나라가 유독 이 항목에서 만큼은 하위권에 속한다고 합니다. 내가 어려움에 처했을때 도움을 주는 친구가 없다는 거죠. 이런 슬픈 깨달음은 내가 무너지면 도와줄사람이 없으니 절대로 무너지면 안된다는 각오로 이어지기 마련입니다. 그렇게 이기주의와 경쟁으 더 치열해지.. "책" 가수 최백호 도츠 틸레만, 찰리 헤이든, 오마라 포르트 온도. 각기 국적도 장르도 다른 세 아티스트들의 공통점은 내한 공연을 했다는 점. 그리고 그때 나이가 토츠틸레만은 팔순, 찰리 헤이든은 60대 후반, 심지어 오마라 포르트 온도는 구순에 가까웠죠. 무대에서 불안이나 긴장 같은 건 없었습니다. 자신감조차 필요 없었죠. 이미 음악이 그가 되고 그가 음악이 돼서 모든 게 자연스럽게 흘러나왔으니까요. 그건 완벽함이 아니라 구속도 얽매임도 없이 마음대로 음악 연주가 가능한 자유였습니다. 관객들에게 다정하게 눈길을 보내며 내내 인자한 미소를 지었던 것도 '실수하면 어쩌지'가 아니라 '실수하면 머 어때. 그것도 음악이야 '였을 것 같습니다. 노장의 공연에는 젊은 스타와는 또 다른 결의 정열과 자유가 있죠. 노인에 대한 편견이.. 에드워드호퍼의 그림 간이식당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창을 통해 보입니다. 언제까지 이 앞에 서 있을 수는 없습니다. 오른쪽 모퉁이에 있는 이 식당을 끼고돌면 분명히 다른 길이 나올 텐데 아직 어떤 길일 지는 알 수 없습니다. 순간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지 당황할 수 있지만 절로 시선이 어디로 향하는지가 답을 내줄 겁니다. 에드워드 호퍼가 그린 '나이트 호크'는 이런 방식으로 우리를, 정확히는 우리의 시선을 붙잡았다가 가던 길을 가도록 놓아줍니다. 한 여자가 무언가를 보고 있습니다. 혹은 무언가에 이끌리고 있습니다. '케이프 코드의 아침'이라는 그림 속 여자 이야기인데요. 분홍색 옷을 입은 여자가 밖으론 낸 창에 서서 창밖을 보고 있습니다. 무엇을 보는지는 알 수 없지요.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그녀가 무언가를 보고 있다.. 이전 1 2 3 4 ··· 6 다음